본문 바로가기
논문 리뷰/계량경제

[계량경제] Unemployment and Digital Public Goods Contribution

by 장찐 2021. 10. 8.

◈ 논문 정보 

 

Kummer, Michael, Olga Slivko, and Xiaoquan Zhang. "Unemployment and digital public goods contribution." Information Systems Research 31.3 (2020): 801-819.

 

 

◈ 논문 요약 

 

 수업에서 논문 발표한 PPT 자료를 정리하여 포스트를 작성하였습니다. 

 

 

· 선행 연구 사례들은 주로 경제 위기 시기에 기부 금액의 증감을 파악한 내용들이 많다. 예상과는 다르게 경제 위기에도 기부금은 감소하지 않았고, 오히려 경제 위기 종료 후 기부가 증가한 결과들이 많았다. 기부금과는 달리 공공재의 경우는 올바로 측정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. 이 연구에서는 공공재 중에서도 온라인 공공재(Online Public goods)를 대상으로 하였다. 

 

 

 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공공재를 위키피디아 컨텐츠로 파악하였다. 위키피디아는 많은 방문자들이 컨텐츠 제작에 참여하고 있으며, 누구나 참여 가능하고, 경쟁 요소가 없다는 측면에서 온라인 공공재로 볼 수 있다. 

 

 각 district의 상하위 그룹 30%를 treatment / control으로 설정하였다. 경제 위기로 영향을 받은 지역을 정확하게 통제하기 위해서 이와 같이 설정하였다. 

 

 

 

 DID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, 익명 유저에게서 Added bytes,  edit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반대로 등록된 유저에게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.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이 연구에서는 독일 지역에 대해서 분석을 한 후에, 유럽 국가들에 대해서도 추가 분석을 실시하였다.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토론 내용 

 1. 이 연구에서는 위키피디아라는 context를 중심적으로 파악하였다. 하지만 위키피디아는 이용 대상 / 사용 목적 / 행태가 매우 다양하다. 또한 이 연구에서는 경제위기 라는 거시적인 이벤트와 결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. 따라서 이 연구에서 Robustness Check를 진행한 부분 외에, 추가로 고려해야 하는 요소나 필요한 분석이 있는지?

 

2.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가 매우 흥미롭지만, 이러한 결과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이루어졌는가? 또한 이 연구의 결과가 흥미롭기는 하지만 과연 이 연구가 경영학적/사회적인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? 

 

댓글